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이든3

하이든의 고향 복귀 작전 - <고별> 교향곡 Franz Joseph Haydn-Symphony No.45 in f sharp minor Farewell> 하이든의 교향곡 제45번 은 곡에 얽힌 유명한 에피소드가 있습니다.1772년, 평소 음악을 좋아했던 에스테르하지 후작은 여름휴가 차 별궁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에스테르하지 후작은 이 시간이 너무 즐거웠는지 한참이 지나도 본거지 아이젠슈타트로 복귀하지 않고 별궁에서 머물렀습니다. 1772년 5월에 머무르기 시작한 게 9월이 지나도록 돌아갈 기미가 보이지 않으니 후작을 따라온 궁정악단 단원들은 향수병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이런 단원들의 고충은 궁정악장 하이든의 귀에도 들어가게 됩니다.하이든은 평소 단원들을 자식처럼 아껴 ‘파파’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사실을 알고 자신의 고용주인 에스테르하지 후.. 2025. 3. 9.
트럼펫의 역사와 하이든 트럼펫 협주곡 Franz Joseph Haydn - Trumpet Concerto in E-flat major(Konzert für Trompete und Orchester) 옛날 금관악기들은 낼 수 있는 음에 상당한 제약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도-솔-(높은)도-미-솔-시♭...'이 음정들을 배음열이라고 하는데 기본적으로 금관악기들은 별도의 장치가 없으면 배음열에 있는 음들밖에 낼 수 없습니다. 보면 아시겠지만 당시의 트럼펫은 저음~중음역대에서는 일부 음정만 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당대의 트럼펫 곡들은 대부분 고음역대를 연주하도록 작곡을 하였습니다. 고음역으로 가야 모든 음정을 연주 가능했기 때문이죠. 문제는 금관악기가 고음을 내려면 더 강한 호흡과 입술의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트럼펫 곡들의 난이도는 매우 .. 2023. 1. 3.
졸고 있는 청중을 깨우는 곡 - 하이든의〈놀람 교향곡〉 Franz Joseph Haydn - Symphony No.94 in G Major H.1/94 〈Surprise〉 이 곡은 100개가 넘는 교향곡을 작곡하며 교향곡 형식을 확립시킨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의 가장 유명한 교향곡이며 클래식 음악 중에서도 특히 재미있고 기발한 곡으로 유명합니다. 놀람이라는 제목은 2악장 중간에 포르티시모(ff.매우 세게)로 크게 연주하는 부분 때문에 붙은 별명인데 그 전에 정말 조용하게 연주하다 갑자기 음량이 커지기 때문에 처음 듣는 사람은 제목 그대로 깜짝 놀라게 되죠. 저 역시 초등학교 음악 시간에 이 곡을 들으며 깜짝 놀랐던 기억을 지금까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이든은 온화하면서 유머감각 있던 사람이었는데 그런 그의 성향이 잘 들어나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2022.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