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낭만파 음악 21

프리츠 크라이슬러 - 푸냐니 풍의 <서주와 알레그로>

Fritz Kreisler - Praeludium and Allegro in the Style of Pugnani 오스트리아의 바이올리니스트 겸 작곡가였던 프리츠 크라이슬러는 19세기 말~20세기 초반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명성을 떨쳤습니다.하지만 그는 10대 시절 바이올린 뿐만 아니라 헬메스베르거, 브루크너와 같은 뛰어난 스승에게서 작곡을 배웠으며 평생에 걸쳐 많은 바이올린 곡을 작곡한 작곡가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를 바이올리니스트로만 여겼던 사람들은 그의 작품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바라보았고 그의 작품을 제대로 평가를 하려 들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일을 몇 번 겪어서인지 이후 크라이슬러는 1900년대부터 자신이 작곡한 곡들을 연주하지 않고 갑자기 비발디, 타르티니, 보케리니, 쿠프렝, 푸냐니 ..

라흐마니노프 만년의 걸작-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Sergei Vasilyevich Rachmaninoff -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Op.43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Рахма́нинов - Рапсодия на тему Паганини  작곡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출신의 미국 작곡가로 귀족 가문 출신이었던 그는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느껴 미국으로 망명하여 미국에서 여생을 보냈습니다.그는 러시아에 있던 시절에 많은 곡들을 작곡하였습니다.우리가 흔히 라흐마니노프의 대표작으로 기억하는 피아노 협주곡 2번과 3번, 교향곡 제2번과 전주곡들, 악흥의 한때 등의 작품들이 모두 러시아 시절에 작곡한 곡들이었습니다.하지만 그런 그가 미국으로 망명한 이후에는 피아노 연주활동에 주력하였고 창작활동은..

브람스식 전원 교향곡 - 브람스 교향곡 제2번

Johannes Brahms-Symphony No.2 in D Major Op. 73 (Die Sinfonie Nr. 2 D-Dur Op. 73)  브람스의 음악은 흔히 가을과 어울린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확실히 그의 음악에 녹아있는 쓸쓸함과 은은하게 느껴지는 열정은 가을의 적막한 분위기와 어울리는 면이 있습니다.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이 곡은 그런 사람들의 말과는 완전히 대비되는 곡이라 할 수 있습니다.브람스의 교향곡 제2번은 브람스의 전원 교향곡이라고도 부르는 곡인데 그 명칭처럼 브람스의 4개의 교향곡 중에서 가장 상쾌하고 밝은 분위기의 곡입니다. 브람스가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 곡의 목가적이고 밝은 분위기를 듣고 자연을 연상시키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실제로 이 곡은 그가 오스트리..

경기병들의 위엄있는 행진 - 주페의 〈경기병 서곡〉

Franz von Suppé - Leichte Kavallerie Ouvertüre (Light Cavalry Overture) 경기병이란 과거 말을 타고 다니던 시절 전쟁에서 가벼운 무장을 한 채 싸우던 기마병을 뜻합니다. 이들은 전쟁에서 뛰어난 기동력으로 기습공격과 추격전 등을 시행하였고 때로는 선봉에 서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전천후로 활약한 병사들인데 따라서 매우 용맹하면서도 날쌘 병사들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오늘 소개할 곡은 바로 이 경기병들을 주제로 한 곡입니다. 트럼펫의 팡파르와 뒤이어 이어지는 기마병이 질주하는 듯한 쾌활한 멜로디로 유명한 이 곡은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프란츠 폰 주페가 작곡한 2막짜리 오페레타(작은 오페라라는 뜻으로 오페라보다 짧고 가벼운 내용의 음악극) 〈경기병〉의..

슈베르트 최후의 교향곡 - 교향곡 제9번 〈더 그레이트〉

Franz Peter Schubert-Symphony No.9 in C Major, D 944 〈The Great(Die Große)〉 슈베르트의 9번 교향곡인 〈그레이트〉는 슈베르트가 사망하기 몇 년 전인 1824~1826년에 작곡된 곡입니다(예전에는 그가 사망한 연도인 1828년에 완성한 교향곡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1825년에 시작하여 1826년에 완성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름처럼 전곡의 연주 시간이 1시간에 육박하는 대곡으로 당시에는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을 제외하면 이것보다 더 긴 교향곡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19세기 낭만파 시대를 거치면서 엄청나게 거대해진 후대의 교향곡들과 비교해도 그 길이가 긴 편에 속하는 정말 ‘그레이트’한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그레이..

동물들의 신나는 카니발 - 생상스의〈동물의 사육제〉해설

Charles-Camille Saint-Saëns: 〈The Carnival of the Animals〉(Le Carnaval des animaux) 프랑스의 작곡가 카미유 생상스의 대표작 중 하나인 모음곡 〈동물의 사육제〉는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으로 유명한 곡입니다. 작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음악 자체가 짧으면서도 직관적이며 묘사가 뛰어나기 때문에 듣기도 쉬운데다 ‘표제음악이란 이런 것이다’는 것을 설명하기에 더없이 훌륭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죠. 이 곡은 현재 그의 대표작으로 여겨질 만큼 유명하지만 의외로 작곡가가 살아 있을 때에는 몇 번의 비공개 연주만 하고 공개 연주회를 한 적이 없는 작품입니다. 결국 공개 초연은 생상스 사후에나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작곡가 생상스는 이 곡을 단지 친구들과의 파티..

실패와 좌절을 극복한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Vasilyevich Rachmaninoff - Piano Concerto No.2 Op.18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라흐마니노프 최고의 인기작 중 하나이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이 곡은 1900년대 초반에 작곡하여 출판한 곡으로 유명 피아노 협주곡들 중에선 비교적 최근에 작곡된 음악이지만 아름다운 멜로디와 당대의 음악에 비해 덜 난해한 구성으로 초연 때부터 상당한 인기를 얻었던 곡이죠. 이 곡은 작곡가 본인에게도 의미가 깊은 곡입니다. 이 곡의 작곡 배경을 설명하려면 이 곡을 작곡하기 몇 년 전부터 보아야 합니다. 라흐마니노프는 1897년 교향곡 1번의 대실패로 인하여 작곡활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우울증에 빠졌습니다. 이 우울증..

우아하고 화려한 무도의 정경 - 베버의〈무도에의 권유〉

Carl Maria von Weber -〈Aufforderung zum Tanz〉 Op.68 이 곡은 초기 낭만파 작곡가 카를 마리아 폰 베버가 작곡한 피아노곡입니다. 당시 막 결혼한 아내 카롤리네를 위해 작곡한 곡입니다. 아직 표제음악이라는 장르가 대중화되지 않은 1819년에 작곡한 곡으로 표제음악의 선구적인 곡이라고 할 수 있을뿐더러 춤추기 위한 왈츠가 아닌 감상에 중점을 둔 콘서트 왈츠곡으로서는 거의 최초의 곡이기도 합니다. 아직 이런 형식의 곡이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생전에 작곡가는 이 곡을 〈화려한 론도〉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합니다. 초판 악보에도 두 가지 명칭이 같이 쓰여 있죠. 위에서 이 곡을 피아노곡이라고 했지만 이 곡을 처음 들은 사람들은 아마도 이 곡을 관현악곡으로 들었을 확률이 높습..

즉흥곡이지만 즉흥곡이 아닌-슈베르트〈즉흥곡〉

Franz Peter Schubert-Impromptu 슈베르트의 피아노를 위한 4개의 즉흥곡은 이름과 다르게 진짜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곡은 아닙니다. 마치 즉흥곡처럼 즉흥적인 느낌으로 만들어진 곡이라고 해서 1827년 이 곡을 처음 출판할 당시 출판업자가 이름 붙인 명칭입니다. 즉흥으로 작곡되었으면 일정한 형식이 없어야 하지만 당연히 이 곡에는 각 악장들에는 론도, 변주곡, 세도막 등의 형식이 갖추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슈베르트의 장점인 멜로디 만드는 능력이 잘 발휘되어 즉흥곡이라는 이름처럼 물흐르듯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아름다운 멜로디가 특징입니다. 슈베르트의 즉흥곡은 4악장으로 이루어진 2개의 곡이 있는데 첫 번째 곡이 Op.90 D.899번이고 두 번째 곡이 Op.142 D.935입니다. 인지도는..

동양과 서양, 그리고 삶과 죽음 – 구스타브 말러 〈대지의 노래〉

Gustav Mahler - Das Lied von der Erde(The Song of the Earth) A Symphony for Tenor, Alto (or Baritone) Voice and Orchestra 말러가 9번째로 작곡한 교향곡 〈대지의 노래〉는 독특하게도 중국의 시인들이 지은 한시들을 기초로 하여 작곡한 작품입니다. 1907~8년 당시 말러는 한스 베트게가 중국 한시들을 번역하여 출판한 의 《중국의 피리》라는 시집에 깊은 인상을 받아 이 곡을 작곡하게 되었습니다. 가사에 맞추어 〈대지의 노래〉는 동양풍 느낌이 물씬 풍기는 이국적인 분위기의 작품으로 탄생되었습니다. (물론 이 곡은 진짜 중국 전통 음악과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 곡에서 말러는 서양에서 흔히 말하는 ‘오리엔탈리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