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주회 및 음반 후기 14

홀스트: 〈행성〉모음곡 - 카라얀 지휘의 두 음반

*시작하기에 앞서: 연주에 대한 평은 주관적이므로 이 글을 너무 맹신하지 마십시오. 가장 좋은 건 본인이 직접 들어보고 비교하는 것입니다. 카라얀은 〈행성〉 모음곡 레코딩을 두 개 남겼습니다. 하나는 1961년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남긴 데카 녹음이고 다른 하나는 1981년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의 녹음입니다. 카라얀의 장기가 후기낭만주의 대편성 관현악곡인 만큼 이 두 녹음 모두 매우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녹음의 특징들과 개인적인 평가를 적어보겠습니다. 본격적인 평에 앞서 음반 평가에 있어서 중점을 둔 부분은 웅장함과 색체감, 다이나믹, 그리고 음질입니다. 이 곡에서는 가장 중요한 감상 포인트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살펴볼 녹음은 1961년 빈 필과의 녹음입니다. 이 ..

비탈리: 샤콘느 - 야샤 하이페츠(Jascha Heifetz)

Tomaso Antonio Vitali: Chaconne in g minor 연주자: Jascha Heifetz 반주자: Richard Ellsasser 녹음: 1950/08/04 Mono 장소: Little Bridges Hall, Claremont 곡 설명: https://schoolclassical.tistory.com/21 참조 이 음반은 하이페츠의 바이올린 연주 모음집으로 총 46개로 출시된 하이페츠 전집 중에서 24번째 음반입니다. 출시된 지 오래된지라 다른 시리즈들은 구하기 어렵지만 이 음반이 매우 유명해진 덕분에 국내에서는 이 음반만은 구하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이 음반에는 바흐 바이올린 협주곡 1번과 2번,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소나타 32번, 파가니니의 카프리치오 13번과 20번, 그..

무소로그스키(Modest Mussorgsky): 〈전람회의 그림〉-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곡에 대한 설명은 https://schoolclassical.tistory.com/24 참조해 주세요 연주자: Vladimir Horowitz 녹음: 1951/04/23 Mono 장소: Carnegie Hall, New York 이 연주는 흔히 카네기홀 연주라고 불리는 연주입니다. 전람회의 그림 명반, 그리고 호로비츠의 명반을 논하면 항상 언급되는 명연주이기도 합니다. 이 연주는 실제 무소르그스키가 작곡한 곡과 비교하면 군데군데 차이가 있습니다. 악보 그대로 연주하지 않고 여러 군데 본인이 편곡을 했죠. 예를 들면 곡 중간 중간, 특히 9번곡 〈닭발 위의 오두막집〉과 10번 곡 〈키예프의 대문〉에서 호로비츠 특유의 깜짝 놀랄 정도의 저음 화음이 터집니다. 6번곡 〈사무엘 골덴베르크와 시뮤일레〉 후에 나오..

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교향곡 8번, 9번 - 칼 슈리히트(Carl Schuricht)

이 음반은 브루크너 8번과 9번 두 곡이 세트로 묶여 있습니다. 제가 샀던 음반을 비롯하여 시중에 나와 있는 음반들은 대부분 이렇게 팔더군요. 제가 샀던 음반은 10년 전 즈음에 안동림 교수의 이 한 장의 명반 시리즈로 나왔던 음반입니다. 이 음반은 지금은 절판되었지만 2021년 현재에도 같은 연주를 다른 음반으로 여전히 팔고 있으니 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겁니다. 8번과 9번이 같이 있지만 이번 리뷰에서는 주로 8번을 중점으로 이야기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더 선호하는 연주가 8번인지라... 브루크너 8번을 CD에 담을 때는 연주에 따라 곤란한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이 곡의 연주시간이 대략 80분 내외인지라 지휘자에 따라 CD 한 장(최대 80분까지 수록 가능합니다.)에 넣을 수 있느냐 아니면 2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