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 분석76

동물들의 신나는 카니발 - 생상스의〈동물의 사육제〉해설 Charles-Camille Saint-Saëns: 〈The Carnival of the Animals〉(Le Carnaval des animaux) 프랑스의 작곡가 카미유 생상스의 대표작 중 하나인 모음곡 〈동물의 사육제〉는 어린이들을 위한 음악으로 유명한 곡입니다. 작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음악 자체가 짧으면서도 직관적이며 묘사가 뛰어나기 때문에 듣기도 쉬운데다 ‘표제음악이란 이런 것이다’는 것을 설명하기에 더없이 훌륭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죠. 이 곡은 현재 그의 대표작으로 여겨질 만큼 유명하지만 의외로 작곡가가 살아 있을 때에는 몇 번의 비공개 연주만 하고 공개 연주회를 한 적이 없는 작품입니다. 결국 공개 초연은 생상스 사후에나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작곡가 생상스는 이 곡을 단지 친구들과의 파티.. 2024. 1. 26.
전설의 접대음악 – 헨델의 〈수상 음악〉 George Frideric Handel - 〈Water Music〉 HWV 348~350 헨델의 〈수상 음악〉(水上 音樂, Water Music)은 헨델이 작곡한 바로크 모음곡으로 그의 가장 유명한 기악곡 중 하나입니다. 헨델 특유의 밝고 화려한 음악 스타일이 잘 드러나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곡을 작곡한 배경을 소개할 때는 꼭 등장하는 재미있는 일화가 하나 존재합니다. 헨델은 원래 독일인으로 현재 독일 지역에 위치한 하노버 왕국의 게오르크 1세 밑에서 일하고 있던 음악가였습니다. 그러나 그가 휴가를 얻어 갔던 런던에서 상연한 그의 오페라 〈리날도〉(이 오페라에서 나오는 곡이 그 유명한 '울게 하소서' 입니다.)가 크게 성공하며 부와 명성을 얻게 됩니다. 유럽에서 손꼽히는 국제도시인 영국 런던.. 2024. 1. 6.
첼로의 한계에 도전하다 - 코다이의 무반주 첼로 소나타 Zoltán Kodály-Sonata for Solo Cello in b minor Op.8 이 곡은 헝가리의 교육자이자 작곡가인 졸탄 코다이가 33살이던 1915년에 작곡한 곡입니다. 코다이는 현재 코다이 음악 교수법으로 음악교육에 큰 업적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지만 그는 젊은 시절에는 활발한 작곡활동을 하였는데 이 곡은 작곡가 코다이를 대표하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름처럼 반주 없이 첼로 단 한 대만으로 연주하는 독주곡으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 작품이지만 작품의 분위기는 매우 다릅니다. 헝가리의 민속 음악을 수집하고 체계화하는데 평생을 바친 작곡가의 곡답게 헝가리의 토속적인 분위기가 강하게 느껴지는 곡입니다. 그는 분명 바흐의 곡을 의식하였을 것이지만 거기에 얽매이.. 2023. 12. 8.
리듬 게임 단골곡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11번 〈터키 행진곡〉 Wolfgang Amadeus Mozart - Piano Sonata in A Major K.331 〈Alla Turca〉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중 대중적으로 유명한 곡 중 하나로 Rondo alla Turca(터키풍의 론도)란 부재가 붙은 유명한 3악장 덕분에 ‘터키 행진곡’이라는 재목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곡입니다. 모차르트의 이 곡은 클래식 음악 중에서도 캐논, 비창 소나타 등과 함께 대중음악으로 편곡이 자주 이루어지는 곡으로 클래식을 모르는 사람들도 이 곡은 들어본 적이 있을 만큼 다양한 편곡이 이루어졌습니다. 사실 클래식 음악들을 찾아보면 이름에 ‘터키’라는 명칭이 들어간 곡들이 여럿 있습니다. 특히 고전파 시대의 음악들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같은 작곡가의 바이올린 협주곡 5.. 2023. 11. 22.
실패와 좌절을 극복한 -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Sergei Vasilyevich Rachmaninoff - Piano Concerto No.2 Op.18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은 라흐마니노프 최고의 인기작 중 하나이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이 곡은 1900년대 초반에 작곡하여 출판한 곡으로 유명 피아노 협주곡들 중에선 비교적 최근에 작곡된 음악이지만 아름다운 멜로디와 당대의 음악에 비해 덜 난해한 구성으로 초연 때부터 상당한 인기를 얻었던 곡이죠. 이 곡은 작곡가 본인에게도 의미가 깊은 곡입니다. 이 곡의 작곡 배경을 설명하려면 이 곡을 작곡하기 몇 년 전부터 보아야 합니다. 라흐마니노프는 1897년 교향곡 1번의 대실패로 인하여 작곡활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우울증에 빠졌습니다. 이 우울증.. 2023. 11. 8.
우아하고 화려한 무도의 정경 - 베버의〈무도에의 권유〉 Carl Maria von Weber -〈Aufforderung zum Tanz〉 Op.68 이 곡은 초기 낭만파 작곡가 카를 마리아 폰 베버가 작곡한 피아노곡입니다. 당시 막 결혼한 아내 카롤리네를 위해 작곡한 곡입니다. 아직 표제음악이라는 장르가 대중화되지 않은 1819년에 작곡한 곡으로 표제음악의 선구적인 곡이라고 할 수 있을뿐더러 춤추기 위한 왈츠가 아닌 감상에 중점을 둔 콘서트 왈츠곡으로서는 거의 최초의 곡이기도 합니다. 아직 이런 형식의 곡이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생전에 작곡가는 이 곡을 〈화려한 론도〉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합니다. 초판 악보에도 두 가지 명칭이 같이 쓰여 있죠. 위에서 이 곡을 피아노곡이라고 했지만 이 곡을 처음 들은 사람들은 아마도 이 곡을 관현악곡으로 들었을 확률이 높습.. 2023. 10. 19.
반응형